본문 바로가기
이슈

'작년부터 올해까지 20만명이 당했습니다'... 명절에 뜨거웠던 문자 사기 예방하는 방법(feat.실제 피해사례들)

by 굿잡0 2022. 9. 16.

사기 문자 받아보신 적 있으신가요?

 

최근 스미싱 사기가 사회에 이슈가 되면서 피해자 사례를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데요.

 

정부가 발표한 보고서에 의하면 작년 택배가 한해 중 가장 많은 추석이나 설날에 택배 문자 사기로 택배 사칭한 스미싱 피해로 약 18만 명이 피해를 입었다고 합니다.

 

스미싱 사기

스미싱이란 단어를 자주 들어보셨지만 뜻을 모르는 분들이 많은데요. 스미싱은 문자메시지(SMS)와 피싱(Phishing)의 합성어로 '낚는 문자'란 뜻을 갖고 있습니다.

 

스미싱은 주로 악성 애플리케이션(앱) 설치 주소를 보낸 뒤 피해자에게 설치를 유도하는 문자를 보낸 뒤, 피해자가 핸드폰에 어플을 설치하면 개인 정보를 빼내어 돈을 자신의 통장으로 이체하는 방식으로 이뤄집니다.

 

 

최근에 세계 경제가 하락하면서 국내 경기 침체로 인한 어려움으로 이러한 스미싱 사기를 당한 피해자들이 늘고 있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사기꾼들은 어떤 방식으로 우리를 속이는지 알아봅시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문자 관련 스미싱 주의

출처:금융감독원

이처럼 사기 문자엔 인터넷 링크 웹주소가 포함되어 문자가 오지만 정부에서 안내하는 정상적인 문자는 글씨만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문자에 링크 주소가 있으면 무조건 의심부터 하셔야 합니다.


온라인 연수 진행 및 비대면 대출 진행

  1. 취업사이트를 통해서 광고회사에 지원해 합격 연락을 받음
  2. 코로나로 자택에서 온라인 연수를 진행한다면서 수일간 업무 동영상을 청취하게 함
  3. 과제를 제출하면 연수비를 입금하는 등 구직자가 마치 취업한 것처럼 착각하게 만듦
  4. 이후 입사지원서의 위변조를 확인한다고 말하며 신분증 사진 및 신용도 조회 캡처 화면 등을 SNS로 전송하도록 유도
  5. 업무용 휴대폰을 보낼 테니 민원인 명의로 개통해서 택배로 보내면 자신 회사에 보안팀에서 회사 보안 앱을 설치하여 다시 배송한다고 함
  6. 구직자 명의로 비대면 대출을 실행해서 돈을 빼돌림

관심을 유도하는 메시지

많은 분들이 당하기 쉬운 게 바로 택배 메시지와 경찰이나 검찰에서 연락하는 사기 메시지인데요. 아래 문자처럼 왔다면 꼭 확인하시고 움직이셔야 합니다.

 

 


비대면 시대에 사기를 당하기 쉬운 시대입니다.

 

아무쪼록 이 글을 읽으셔서 사기를 예방하길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