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에 에어컨 있으시죠?
혹시 그럼 에어컨이 어느 유형인지 알고 계세요? 각 유형의 에어컨의 특징만 알고 있어도 1~2년 동안 사용하는 에어컨 전기세가 심하게 몇 백만 원까지 차이 난다고 합니다.
이 글 보시고 에어컨 200%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에어컨 200% 활용법
인버터 VS. 정속형
우선 우리 집 에어컨 방식이 인버터인지 정속형인지 알아야 합니다.
인버터
- 최근에 제조된 에어컨은 대부분 인버터 방식입니다. 인버터 에어컨은 2011년부터 보급되기 시작됐습니다. 그래서 2011년 이후에 에어컨을 구매했을 경우 대부분은 인터버 에어컨입니다.
- 인버터 에어컨은 에너지 효율 등급이 1등급입니다.(간혹 저가형으로 3등급이 있습니다)
- 에어컨에 부착된 에어컨 정보에서 냉방능력 혹은 정격능력이 정격/중간/최소로 구분되어 있다면 인버터 에어컨입니다.
- 에어컨 모델명을 확인해도 알 수 있습니다. 아래 내용에 해당되면 인버터 에어컨입니다.
- 삼성: 모델명 여덟번째 자리에 숫자 7 또는 9 (예시: 삼성 무풍에어컨 AR15N5170HZ)
- LG전자: 모델명 두 번째 또는 세 번째 자리에 W 또는 Q (예시: LG 휘센 FQ17V8KWC2)
- 위니아: 모델명 세 번째 자리에 V 또는 W (예시: 대우위니아 WRV11ABH)
- 캐리어: 모델명이 C로 시작하면 세 번째 자리에 V, 그 외 다섯번째 자리에 V(예시: 캐리어 CPV-Q161PM)
정속형
2011년 이전에 구매한 에어컨은 대부분 정속형 방식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에어컨에 에너지 효율등급이 5등급이며 위와 같이 '최소/중간/정격'이란 표시가 없다면 모두 정속형 에어컨입니다.
온라인으로 에어컨을 구입할 때 상세페이지에 인버터란 말이 없으면 정속형입니다.
※ 만약 위 방식대로 확인했는데 어렵더라면 제조사 고객센터로 전화하여 모델번호를 알려주면 인버터인지 정속형 에어컨인지 확인 가능합니다. 또는 인터넷에서 제조사 홈페이지에 들어가 에어컨 모델명을 검색하면 알 수 있습니다.
1.에어컨 상태에 맞춰서 틀기
인버터는 에어컨 켜자마자 4000W에 도달했다가 20분 뒤에 전력 소비량이 거의 0에 수렴합니다.
정속형은 키고 나서 2000W에서 시작해 40분이 지나고 희망 온도에 근접하면 아예 꺼졌다가 다시 2000W로 올라가서 실내 온도를 맞춥니다.
인버터
실내 온도가 희망 온도에 도달하면 실외기 가동을 멈춥니다.
그러므로 계속 켜놓아도 전력 소모가 적으며, 희망 온도에 빨리 도달할수록 전력을 적게 쓰기 때문에 에어컨을 처음 킬 때 최대한 강하게 틀고 적정 온도를 유지해야 전기세가 적게 나옵니다.
정속형
에어컨이 켜져있는동안 실외기가 계속 작동합니다.
그러므로 약 1시간동안 최대 출력으로 틀어서 실내 온도를 낮춘 뒤 희망 온도를 약간 평균보다 1~2도 높게 설정해놓고 유지해야 전기세가 적게 나옵니다.(그리 덥지 않다고 느껴지면 끄셔도 무방합니다)
추가로 효율적인 방법
에어컨을 킬 때 선풍기도 같이 틀어주면 공기 순환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선풍기를 틀 땐 선풍기가 천장을 바라보고 틀어줍니다.
2. 에어컨 필터 청소
에어컨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사용하려면 공기 순환이 최우선입니다. 그러므로 2주에 한 번 늦어도 1달에 한 번은 에어컨 필터 청소를 하여 에어컨이 공기 순환이 잘되도록 합니다.
에어컨 청소할 때 공기가 들어오는 방향이 아닌 공기가 나가는 방향으로 물을 뿌려서 청소해주세요.
이렇게만 해도 냉방 효율이 약 5% 올라갑니다.
3. 실외기 주변 청소
많은 분들이 에어컨 필터 청소엔 신경 쓰지만 실외기엔 신경을 쓰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요.
에어컨이 제대로 성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주된 이유는 실외기에서 주로 발생합니다.
실외기 주변에 물건이 있거나 그 위에 뭔가 올려져 있으면 실외기 발열이 제대로 식지 않아 고장 나거나 에어컨에 공기 순환에 장애가 생겨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만약 실외기가 직사광선에 노출돼있다면 덮개나 그늘막을 설치하는 게 무조건 좋습니다. 이렇게 하면 냉방 효율이 20%는 상승합니다. 전기세도 20%는 줄일 수 있겠죠?
지금까지 에어컨 200% 활용하는 법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무더운 여름철 날씨, 에어컨 너무 쐬서 냉방병 유의하시고 시원하고 건강한 하루 보내시길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파 빨리 상해서 속상하시죠?"...살림꾼이 알려주는 양파 대량으로 사서 최소 3달이상 싱싱하게 먹을 수 있는 양파 보관 (0) | 2022.07.12 |
---|---|
"죽기 전에 꼭 가보세요"... 여행전문유튜브가 대한민국 5년 투어하면서 꼽은 베스트 여행지 6곳 (0) | 2022.07.12 |
"편의점 재료로 칵테일 만들어요"...알쓰도 인정한 생각보다 괜찮은 집에서 만드는 칵테일 레시피 7가지 (0) | 2022.07.12 |
"평소에 운전대 어떻게 잡았지?"... 무의식적인 내 안의 성격을 알 수 있는 '운전대 잡는 방법' 10가지 (0) | 2022.07.11 |
"에버랜드 갔다가 줄만 서고 왔어요"... 놀이공원 가기 전에 알고가면 200% 즐길 수 있는 꿀팁 (0) | 2022.07.11 |
댓글